신도시는 과밀학급·교원 부족…학교·지역 간 양극화 우려
저출생이 심화하면서 최근 3년간 통폐합한 초·중·고교가 72개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받은 ‘2021∼2023년 통폐합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24개교, 2022년 27개교, 2023년 21개교가 통폐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통폐합한 학교가 72개교에 달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초등학교가 58개교로 가장 많았다. 중학교는 11개교, 고등학교는 3개교였다.
지역별로는 강원 16개교, 경기 12개교, 전남 10개교, 경북·충남 각 8개교 등 순이다.
학교 통폐합은 저출생 가속화로 학령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탓이 크다.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 학생 수는 2021년 267만2천명에서 지난해 260만5천명으로 2.5% 줄었다.
앞으로는 감소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토대로 보면 2030년 초등학생 수는 161만명으로 200만명 밑으로 떨어진다. 2021년과 견줘 9년 만에 100만명 이상 줄어드는 셈이다.
올해에도 학교 통폐합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교육청의 경우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해 올해 13개교의 통폐합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
일각에서는 학교 통폐합으로 지역별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농·산·어촌·벽지 학교는 통폐합돼 학생들이 원거리 통학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지지만, 수도권·신도시 지역은 과밀학급과 교원 부족 문제가 지속하는 등 ‘양극화’가 심각해질 것이란 의미다.
강 의원은 “살릴 수 있는 소규모 학교는 살리고 정상적인 교육과정 활동을 위한 인력·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며 “부득이하게 통폐합이 이뤄질 경우 폐교 부지에 대한 고민 역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위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