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 Prize Wisdom 그를 높이라 (잠4:8) -

“트랜스젠더 순직 인정·현충원 안장은 징병제도에 근본적 회의감 품게하는 일”

▲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트랜스젠더 순직처리 및 현충원 안장 반대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GMW연합 제공.

2600여 시민단체, 국방부와 국가보훈부의 반국가적 결정 “규탄

정부가 성전환 수술 후 강제전역되고 이후 스스로 목숨을 끓은 고(故) 변희수 전 하사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하기로 한데 대해 거룩한방파제통합국민대회 준비위원회 등 2600여 단체들이 6일 국립대전현충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고 변희수 전 하사는 남성의 몸으로 입대해 군지휘관들의 오판으로 해외출국 허가까지 받고 태국에서 여자로 성전환 수술을 받았는데 이는 군 기강을 문란케 하는 일”이라며 “지난 4월 국방부의 순직 결정도 잘못이고, 현충일을 하루 앞둔 6월 5일 보훈부가 그를 국립대전현충원에 이장하기로 결정한 것 또한 매우 잘못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는 신성한 국방의 의무를 이해하고 있는 현역군인들과 국방의 의무를 이행한 예비역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준 조치이자 징병제도에 근본적인 회의감을 품게 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우리는 대한민국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사법적극주의 판결을 일삼고 있는 사법부의 사악함, 그리고 친동성애.친LGBT 편향보도를 쏟아내고 있는 언론방송들의 불공정성, 이에 편승해 잘못된 결정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결국 국론분열을 초래하고 국방력을 저하시키고 있는 국방부와 국가보훈부의 반국가적 결정에 대해 분노하며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남군으로 입대했다가 독단적으로 성전환수술을 하고, 현역부적합 판정을 받은 후에 여군으로 편입시켜 달라고 억지 주장을 펴다 자살한 전역자에게 ‘순직 처리 결정’을 하고 신성한 국립묘지에 이장까지 허용한다 말인가”라며 비판했다.

이들은 이에 대해 “국민 상식적인 눈높이에서 비상식적인 결정이 철회되고 원정에서 제고되길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 단체들은 ▲트랜스젠더 고인을 순직 처리한 국방부 신원식 장관은 대국민 사과하고 즉각 사퇴하고 ▲나라에 세운 공도 없는 고인을 현충원에 안장하기로 결정한 국가보훈부 강정애 장관은 대국민 사과하고 즉시 사퇴하라고 밝혔다.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은 사실관계를 명확히 파악하여 국민들 의사에 반하는 잘못된 결정을 한 신원식 국방부 장관을 즉시 파면하고, 강정애 보훈부 장관을 엄중 문책할 것을 요구한 한편, ▲대한민국 언론방송도 더 이상 (낙태와 동성애 지지 등 성혁명 논리를 주장하는)유엔의 하수인 노릇하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종노릇하지 말고 국민이 분노하는 LGBT들에 대한 특혜와 반국가 선동질을 즉각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끝으로 ▲심신장애’ 사유로 강제 전역 후 자살한 트랜스젠더에게 순직 인정은 안될 말이라며 국방부는 순직 결정 사과하고 원점에서 다시 심사하라면서 ▲국가보훈부는 국립묘지의 가치를 훼손하지 말고, 강제 전역 후 자살한 트랜스젠더의 잘못된 국립대전현충원 이장 결정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한편, 고 변희수 전 하사의 순적처리 및 현충원안장 반대 기자회견이 진행되는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정부의 이같은 결정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피켓을 들고 도열해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복음기도신문]

▲시민들이 트랜스젠더 순직처리 및 대전현충원 안장 반대 피켓을 들고 도열해 있다. 사진: GMW 연합.
▲ 순적처리 및 현충원 안장 반대 피켓을 들고 서 있는 시민. 사진: GMW연합.

<저작권자 ⓒ 내 손안의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복음기도신문. 출처를 기재하고 사용하세요.> 제보 및 문의: 

Print Friendly, PDF & Email

관련기사

jung-bible-220604-unsplash
[GTK 칼럼] 윌리암 휘태커와 성경 번역 (4): 성경 번역과 읽기
20240213 Seoul library
[세상 바로 보기] 민주당의 민주시민교육법안, '세금낭비, 정치적 편향성 극복' 대안 없다
20240628_CGE Mission
해외 기독 사립대 총장단, 2024 사학법인 미션네트워크 포럼에서 업무협약 및 한국 사학 현황 논의
▲ 아브라함 카이퍼.
[정성구 칼럼] 아브라함 카이퍼 어록 (1)

최신기사

[GTK 칼럼] 윌리암 휘태커와 성경 번역 (4): 성경 번역과 읽기
[세상 바로 보기] 민주당의 민주시민교육법안, '세금낭비, 정치적 편향성 극복' 대안 없다
해외 기독 사립대 총장단, 2024 사학법인 미션네트워크 포럼에서 업무협약 및 한국 사학 현황 논의
[정성구 칼럼] 아브라함 카이퍼 어록 (1)
美, 대선 앞두고 치열한 낙태 vs 생명존중 캠페인
인도 총선 결과, 박해받는 소수 종교인들의 삶 달라질까?
[오늘의 한반도] 고교학점제 시행, 기독사학 종교교육 약화 우려 외 (6/29)
Search

실시간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