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북한선교 열매’이자 ‘통일준비의 길잡이’로 성장하고 있는 탈북민교회가 개척한 지 17년이 된 가운데, 전국에 총 58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기독일보가 12일 보도했다.
‘탈북민교회’는 2004년 북한 출신 목회자에 의해 처음 개척됐다. 북한 출신 목회자가 개척하거나 남한 출신 목회자가 국내 탈북민 사역을 주요 목표로 개척하거나 성도 구성원 대부분이 탈북민이다. 탈북민교회의 교세나 재정상황은 전반적으로 열악해 한국교회의 보다 많은 관심과 동역을 요청되는 상황이다.
탈북민교회인 뉴코리아교회 정형신 담임목사가 10일 총신대학교와 온라인 줌에서 열린 ‘제1회 탈북민교회 통일준비포럼’에서 발표한 보고에 따르면, 58개 탈북민교회 중 52개 교회의 평균 성도는 34명이었고, 성도가 60명 이상인 교회는 10%였다. 또 52개 교회의 65%는 교회 월수입이 200만 원 이하여서 수입의 절반 이상을 임대료로 지출했고, 70% 이상은 담임목회자의 사례가 100만 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 현재까지 국내에는 총 68개 탈북민교회가 설립됐고, 북한 출신 사역자가 세운 교회는 42개, 남한 출신 사역자가 세운 교회는 25개, 중국 출신 사역자가 세운 교회는 1개다. 이 중 대성공사 평화교회를 포함한 10곳은 현재 문을 닫았다.
탈북민 사역에서 통일선교로 자리매김
정 목사는 탈북민교회의 역할에 대해 “설립 초기에는 남한 성도들은 섬기는 자, 탈북민 성도들은 섬김받는 자로 역할 구분이 명확했으나, 이후 북한 출신 사역자가 증가하고 탈북민 성도들이 교회 안에 건강하게 자리매김 해가면서 남북한 성도 구분이 희미해지고 교회의 짐을 나눠서 지는 형태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정 목사는 “탈북민이라는 특정 대상을 주요 사역목표로 삼았던 초기 탈북민 사역에서 벗어나, 통일선교의 큰 틀에서 남북한 성도들의 통합을 이루어내는 쪽으로 탈북민교회 사역이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탈북민교회 수도권에 집중
현재 58개 탈북민교회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 서울(27개, 47%), 경기(14개, 24%), 인천(5개, 9%) 등 수도권 지역에 80%의 교회가 집중해 있었다. 탈북민교회가 세워진 지역의 탈북민 거주 현황을 대조해보면 인구대비 교회 숫자는 제주도가 157명당 1개로 가장 높고, 경남이 1082명당 1개로 가장 낮았다.
탈북민교회의 소속 교단은 58개 중 76%(44개)가 대한예수교장로회였다. 담임목회자의 출신 지역은 58명 중 북한 출신이 35명으로 60%, 남한(기타 외국 국적 포함) 출신이 22명으로 38%, 중국 출신이 1명으로 2%였다. 담임목회자의 연령대는 52개 교회 중 북한 출신의 평균 연령은 49세, 남한 출신 평균 연령은 55세였다. 또 40~50대(75%)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부교역자 유무를 조사한 결과 52개 교회 중 63%(33개)가 부교역자가 없었다. 정 목사는 “탈북민교회는 성도들의 신앙뿐 아니라 탈북민의 한국사회 정착, 교육, 취업, 가정, 상담 등 전방위적인 사역을 감당해야 하는 특징을 지니는데, 담임목회자 혼자 이 모든 것을 소화해 낸다는 것은 쉽지 않다.”며 “함께 사랑의 수고를 감당하며 서로의 짐을 나눠질 수 있는 동역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예배당 형태는 52개 교회 중 임대가 85%(44개)로 가장 많았고, 자체 예배당이 9%(5개), 가정교회 형태가 6%(3개)로, 대부분 교회가 상가임대 형태였다. 재정 상황은 52개 교회 중 ‘100만 원 이하’ 38%(20개), ‘200만 원 이하’ 27%(14개)였다.
이에 정 목사는 “월 평균 수입 200만 원 이하인 교회가 전체 65%를 차지하는데, 이들 교회의 평균 임대료가 대략 113만 원(수도권 115만 원, 비수도권 99만 원) 임을 감안할 때, 많은 수의 탈북민교회가 재정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탈북민교회 42%, 담임목회자 사례 없어
담임목회자의 사례는 52개 교회의 42%(22개)가 사례가 없었고, ‘50만 원 이하’ 12%(6개), ‘100만 원 이하’ 17%(9개) 등이었다. 곧 70% 이상 교회에서 담임목회자 사례를 100만 원 이하로 책정하고 있었다.
정 목사는 “몇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탈북민교회 목회자들이 사역 현장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년에 한 번은 일정 수준의 사례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자는 시도가 논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탈북민 12~14%, 탈북민교회서 신앙생활
교세 현황은 52개 교회 중 60명 이상은 10%(5개), ‘20명 미만’ 27%(14개), ‘40명 미만’ 42%(22개), ‘60명 미만’ 21%(11개)였다. 또 국내에서 12~14%의 탈북민이 탈북민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인권정보센터가 발간하는 ‘북한종교자유백서’에 따르면, 국내 탈북민 3만여 명 중 기독교 비율은 약 41%로 1만 2000명이 기독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탈북민 교회, 북한에 세워질 교회의 모델
한편, 정형신 목사는 “탈북민교회의 주요 모토 중 하나는 ‘북한에 세워질 교회의 못자리 혹은 모델이 되는 것’”이라며 “대부분의 교회가 북한선교뿐만 아니라 민족 복음화와 복음통일, 그리고 열방선교를 목회비전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북한 어느 지역에 어떤 형태의 교회를 세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탈북민교회 사역의 특징은 일반적인 교회 사역과 더불어, 탈북민 정착 지원을 위한 NGO 사역, 북한선교 동원을 위한 선교회 사역, 그룹홈, 대안학교 혹은 방과후 학교, 북한 내지사역 등을 병행하고 있다.
정 목사는 탈북민교회를 바라보는 시각도 ‘도움이 필요한 미자립교회 중 하나’가 아닌, ‘한국교회 북한선교의 열매’, 그리고 ‘북한선교의 현장이고 실제이자 통일준비의 길잡이’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크리스천 퍼스펙티브
탈북자 출신 장인내 전도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복음화는 북한사회에 대한 이해함이 있는 한국에 온 탈북민보다 적임자가 없으며, 이들을 복음의 전사로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
탈북민의 40%가 기독교인인 것을 감사하며 탈북민 교회와 성도들이 생명의 통로로 서서 복음이 전해지기를 기도하자. 또한 이들이 통일선교를 준비하며 귀한 복음의 일꾼들로 세워지게 하시고, 한국 교회도 이들과 사랑으로 연합해 북한의 복음화를 위해 동역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 <UTT(Understanding The Times)제공> [복음기도신문]
<저작권자 ⓒ 내 손안의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복음기도신문. 출처를 기재하고 사용하세요.> 제보 및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