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하나님 나라, 진리로 세계를 열어주는

   - Prize Wisdom 그를 높이라 (잠4:8) -

정영선칼럼

church cross
[정영선 칼럼] 음부의 권세가 교회를 이길 수 없다
2020년 2월부터 시작된 전세계 코로나 펜데믹 세상. 우린 모든 영역에서 생각지도 못한 전혀 새로운 세상에서 살고 있다. ‘이러다 좋아지겠지’하며 2년이 다...
thomas
[정영선 칼럼] 갑신정변 개화사상은 기독교였다
우리나라는 중국을 오가던 사신들을 통하여 기독교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먼저 선교사들을 받아들인 중국. 조선의 국왕은 중국의 문물을 배워오라고 보냈지만, 정작 그들은 복음을 배우고...
Elizabeth Keith 20210305
[정영선 칼럼] 100년 만에 찾아온 엘리자베스 키스
삼일운동이 있었던 1919년 3월.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는 한국에 오게 된다. 그녀가 찾아온 제물포구락부(전시회장소)는 1901년 헐버트선교사(학교설립)가 선교사들의 모임장소로...
law
[정영선 칼럼] 낙태의 최대 피해자는 여자
죄란 단어에 거부감이 생겨나는 요즘 죄라는 개념 자체가 무너지고 있다. 누가 누구에게 죄라고 한단 말인가. 그리고 그럴 자격이 있는가. 나의 권리를 찾고 나의 마음 가는대로 하고...
withyou-678x381
[정영선 칼럼] 교회와 세상의 마지막 싸움이 이미 시작되었다
오늘은 제60회 태아생명살리기 위드유캠페인이 있는 날이다.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 자리에 나올 이유가 없다. 코로나로 예배도 못드리는 상황에서 눈총을 받아가면서도 영하...
Declaration of Independence 2
[정영선 칼럼] 2.8 독립선언서를 다시 읽으며
2월 8일. 올해로부터 102년 전인 1919년 2월 8일. 일제 치하 도쿄 한복판에서 조선의 그리스도인 청년들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투옥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조선인들은...
independent
[정영선 칼럼] 어게인 독립정신
이승만은 배재학당을 다니면서도 영접하지 않았던 주님을 사형수로 한성감옥에 있으면서 주님을 만났다. 캄캄한 감옥.. 앞이 보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죽어야 나갈수 있는 감옥에서도… 성경은...
antiabortion
[정영선 칼럼] 낙태법, 끝나도 끝난 것이 아니다
헌법재판소는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리며 2020년 12월 31일 까지 법을 개정하라고 했다. 하지만 아무런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2021년을 맞이했다. 그러면 낙태죄가...
0122_1
[정영선 칼럼] 헌법재판소에 흐르는 생명의 피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에 갔다. 2019.4.11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을 받고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앞으로 어떻게 기도해야할지 찾고 싶었다. 걸어 나오는데 갑자기 등이 오싹하여...
blonde2
[정영선 칼럼] 목소리를 높이세요
금발이 너무해2.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 우리는 핑크색 옷을 좋아하는 주인공이 나오는 로맨틱 코메디로만 알고 있지만 나에게는 많은 것을 전하는 영화였다. 자신의...

최신뉴스

김조한, 시편 10편 재해석한 ‘그 이름을 부릅니다’ 공개
[원정하 칼럼] 한국어 신앙 만화책으로 문서선교를... 필리핀 학교에 진출
칠레 국회의원들, '생명 위한 서약' 서명... 정부의 낙태 합법 반대
[오늘의 한반도] ‘세이브코리아’ 기도회, 11개 지역서 나라.민족 위해 기도 외 (2/2)
[오늘의 열방] 인도, 명예살인 남성 4명에 사형선고 외 (2/3)
[김종일 칼럼] ‘꾸란’을 통해 복음 전하기 - 효과적 복음 전도(6)
복음을 아는 것과 믿는 것을 하나되게 하는 은혜
Search

실시간최신기사

250201_KJH_1
김조한, 시편 10편 재해석한 ‘그 이름을 부릅니다’ 공개
20250202_Won_main
[원정하 칼럼] 한국어 신앙 만화책으로 문서선교를... 필리핀 학교에 진출
felipe-brayner-5 unsplash
칠레 국회의원들, '생명 위한 서약' 서명... 정부의 낙태 합법 반대